한국공항공사 제주공항(공항장 김복근)은 여객화장실 내 공기질 개선 및 악취 저감을 위해 전국 14개 공항 중 최초로 도착장 화장실 2곳에 실내공기질 개선시스템을 시범설치했다고 20일 밝혔다.
'화장실 공기질 개선시스템'은 화장실 각 칸마다 설치된 공기청정살균기가 음이온을 발생시켜 미세먼지 및 악취 등을 저감한다. 이는 통합센서를 통해 실시간으로 공기질 상태를 수집.분석해 상시 쾌적한 화장실 환경을 유지하는 AI 기반의 공기질 관리서비스다. 제주공항은 시범운영을 거쳐 효과성이 입증 될 경우 지속 확대 시행할 예정이다.
실시간으로 수집된 공기질 정보 및 관리 상태는 화장실 외부의 모니터를 통해 공개됨으로써 제주공항 이용객이 보다 안심하고 깨끗한 환경의 화장실을 사용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.
김복근 공항장은 "본격적인 하계 휴가철을 앞두고 화장실 내 전반적인 공기질을 개선하여 제주공항을 찾는 국내외 여객들이 보다 쾌적하게 화장실을 이용할 수 있을것으로 기대한다"며 "앞으로도 제주공항은 이용객에게 최상의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지속적으로 노력할 계획"이라고 말했다.<헤드라인 제주>
한국공항공사 제주공항(공항장 김복근)은 여객화장실 내 공기질 개선 및 악취 저감을 위해 전국 14개 공항 중 최초로 도착장 화장실 2곳에 실내공기질 개선시스템을 시범설치했다고 20일 밝혔다.
'화장실 공기질 개선시스템'은 화장실 각 칸마다 설치된 공기청정살균기가 음이온을 발생시켜 미세먼지 및 악취 등을 저감한다. 이는 통합센서를 통해 실시간으로 공기질 상태를 수집.분석해 상시 쾌적한 화장실 환경을 유지하는 AI 기반의 공기질 관리서비스다. 제주공항은 시범운영을 거쳐 효과성이 입증 될 경우 지속 확대 시행할 예정이다.
실시간으로 수집된 공기질 정보 및 관리 상태는 화장실 외부의 모니터를 통해 공개됨으로써 제주공항 이용객이 보다 안심하고 깨끗한 환경의 화장실을 사용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.
김복근 공항장은 "본격적인 하계 휴가철을 앞두고 화장실 내 전반적인 공기질을 개선하여 제주공항을 찾는 국내외 여객들이 보다 쾌적하게 화장실을 이용할 수 있을것으로 기대한다"며 "앞으로도 제주공항은 이용객에게 최상의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지속적으로 노력할 계획"이라고 말했다.<헤드라인 제주>